교육정보

교과목개요

문화콘텐츠의 이해(Understanding Cultural Media)
문화콘텐츠의 다양한 영역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위해 개설된 교과목이다. 문화콘텐츠의 개요, 현황 및 구조를 이해하고, 인문적 소양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의 기획・제작・유통・소비・정책・경영 등 문화콘텐츠와 연계된 산업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기본 지식을 제공한다.
디지털 미디어 기초 (How to Deal with Digital Media)
영상콘텐츠를 대표로 하는 다양한 디지털 매체들과 관련된 이론과 개념, 용어들을 소개하고 실제 제작 실습으로 이어지는 실습 위주의 강의이다. 영상 언어의 구조와 역사 그리고 디지털 영상제작에 필요한 지식 등을 습득하고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사진, 영상물을 제작해본다.
가야역사여행(Gaya History Trip)
문헌 기록이 빈약하여 더 신비로운 가야 왕국의 역사를 고고 자료를 통해 재조명해 본다. 또한, 가야유적 답사와 발굴 실습을 통해 가야의 숨결을 느껴 본다.
그리스·로마신화: 콘텐츠의 원천(Greek & Roman Myths: the Original Source)
그리스·로마신화는 인류가 이룩한 중요한 문화 전통의 깊숙한 기원이자 중요한 본류의 하나이다. 고대로부터 현대로 이어지는 인간 문명의 서사적 유래를 이해하고 인류가 쌓아 온 다양한 문화양식, 표현의 기초를 익혀서 앞으로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풍부한 콘테츠의 원천을 확보한다.
K-스토리 뱅크(K-Story Bank)
문화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한 한국적인 스토리뱅크를 구축해보는 교과로서 특히 다양한 옛이야기를 분석하여 현대적인 문화콘텐츠의 원천소스로 활용함으로써 한국적인 개성을 지닌 매력적인 캐릭터를 창조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인문학과 사진예술(Humanities and Photographic Arts)
사진 촬영을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고 사진예술의 역사와 여러 장르 및 그 특징을 살펴보고 사진예술을 이용해 인문학적 상상력을 표현할 방법을 탐구하고 실습한다.
동양의 예술과 미학(Eastern Art and Aesthetics)
동양의 예술과 미학사상의 특징을 고찰하고 전통적인 한국의 미의식과 예술의 특징을 탐구하며 그 현대적 활용가능성을 모색한다.
한일대중문화콘텐츠 비교(Comparative Study of Korea-Japan Popular Culture)
한국과 일본의 다양한 대중문화의 콘텐츠(게임, 광고, 드라마, 영화, 관광, 애니, 만화, 축제, 음악, 유행어)를 이해하고 비교 분석하여 경쟁력을 가진 새로운 문화콘텐츠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고대중국의 서사문학(Narratives in Traditional China)
고대 중국에서 형성된 서사 양식들의 유형과 변천의 역사를 살펴보고 현대의 문화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생각해 본다.
옛이야기와 문화콘텐츠 개발기획(Contents Planning Using Folktales)
옛이야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를 개발해보는 기획안을 마련한다. 문화콘텐츠 제작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국의 옛이야기를 다양한 형태의 문화콘텐츠로 개발하는 실제적 방안을 기획한다.
영미문화산책(Introduction to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주어진 교재와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영국과 미국의 문화적 특성을 주제별로 소개한다.
박물관의 이해(Introduction to Museum)
박물관의 역사, 건축물, 운영 및 관리 등 박물관에 대해 이론적으로 배운다. 아울러, 중요 박물관(미술관)들을 답사하면서 박물관 및 큐레이터의 기능과 역할을 체감해 본다.
할리우드 시네마(Hollywood Cinema)
상업적 성공을 거둔 할리우드의 시대별 대표 영화를 감상하고 성공 요인들을 분석하면서 할리우드 영화 문법을 학습한다.
문화콘텐츠와 스토리텔링(Cultural Media and Storytelling)
스토리텔링은 문화콘텐츠의 근간이므로, 성공적인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을 위해서는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가 필수이다. 영화・드라마・애니메이션・만화・게임 등에서 성공한 문화콘텐츠의 스토리텔링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교과이다.
캐릭터와 스토리 기획(Characters and Stories; Practical Approach)
사례분석 또는 특정 서사 연구를 통해 콘텐츠 속 인물 설정과 관계구성, 전체적인 시나리오 기획 및 에피소드의 구성, 캐릭터 시나리오의 구축에 대해 학습하고 캐릭터가 엮어내는 풍부한 서사(내러티브)를 구상해내는 능력을 기른다.
동화의 정체(Anatomy of Fairy Tales)
애니메이션의 원천소스로 자주 활용되는 동화의 주제와 특징을 탐색한다. 특히 동화를 구성하는 통과제의(성년식)의 서사구조를 이해한다. 또한 동화의 서사문법, 금기 설정과 파기, 각종 상징과 은유가 갖는 숨겨진 의미와 서사적 기능을 알아본다.
애니메이션 캐릭터 분석(Attractive Characters in Animations)
성공적인 애니메이션 작품들을 멀티미디어를 활용하여 감상하고, 각 작품의 미학적 특징과 성공요인을 다각도로 분석해본다. 특히 각 작품이 창작된 사회 문화적 배경, 주제의식, 개성적인 캐릭터의 구현방식을 주목해 본다.
영상콘텐츠 제작연습(Making Digital Contents)
다양하게 생산되고 소비되는 영상콘텐츠의 매체적 특성이해를 기반으로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변화를 분석하고 문화콘텐츠의 활용성을 학습한다. 영상콘텐츠의 기획과 촬영, 후반작업에 이르는 전 과정의 제작 경험을 통해 영상언어의 미학적인 측면과 기술적 측면을 이해하고 영상제작 실무 능력을 배양한다.
영화산업론(Study on Film Industry)
이 교과목은 영화의 기획과 제작, 유통과 소비의 전체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작품의 구상과 스크립트 집필, 인력 구성, 자금 조달, 촬영, 홍보, 마케팅, 상영, 비평 등 일련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조직하고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설명 및 사례 분석을 함께 진행한다.
신·영웅·인간(Gods, Heroes, and Human-beings)
고대 그리스와 고대 로마에서 풍부하게 발견되는 영웅서사를 통해 인류가 쌓아 온 인문학적 전통의 중요한 기반에 접근하는 교과목이다. 신들의 이야기, ‘영웅’을 노래하는 인간은 어떤 존재인지, 신화 속에서 함께 꾸며지는 인간의 이야기를 함께 논의하며 인간 자신에 대한 이해의 깊이를 더해간다. 수업을 통해 고전을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분석력을 기르고 무엇보다도 특징적인 서사와 성격을 갖는 인물들을 창조하고 이것을 가지고 자신만의 서사 콘텐츠를 꾸려내는 연습을 병행한다.
유물유적으로 본 한국문화(Korean Culture through Remains and Relics)
한국문화의 우수성과 특징을 고고학적 유적·유물로 살펴보고 현대적 관점에서 재조명해 본다.
콘텐츠 제작1(Contents Producing Training I)
급변해가는 디지털 시대의 영상(극영화, 다큐멘터리 영화, 실험영화, TV 매체 영상 등) 제작상의 환경 구도를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영상제작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새로운 영상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한다. 다양한 영상과 학생들이 직접 촬영한 영상을 바탕으로 진행된다.
시와 이미지(Poetry and Images)
한시로 대표되는 고대 운문 문학의 주제와 이미지를 분석하여, 현대의 문화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생각해본다.
영화인문학(Humanistic Perspectives in Cinema)
예술형태로서 영화의 여러 요소와 특징을 살펴보고, 좋은 영화를 계기로 삼아 중요한 인문학적 주제를 깊이 검토하고 토론함으로써, 세계와 삶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창의적인 영상 콘텐츠 제작의 방향을 탐색한다.
일본영화로 보는 일본사회(Japanese Movies and Japanese Society)
영화는 시대상을 반영하여 관객에게 공감과 감동을 주는 매체이다. 따라서 시대별로 영화가 시사하는 메시지가 다르기에, 시대별로 적합한 영화를 선정하여 그 영화가 주는 메시지를 파악하고 그 메시지를 통해 일본 사회를 이해하는 학습을 한다.
콘텐츠 산업의 현재와 미래(Analyzing Contents Industry)
21세기 지식정보시대의 핵심적인 산업은 문화산업이며 문화산업의 결정적인 요소는 콘텐츠이다. 문화콘텐츠가 어떻게 구축되고 향유되어 왔는지 문화산업, 콘텐츠 산업의 핵심을 분석해본다. 기획, 연구, 개발, 생산, 유통과 소비 등 관련 산업의 제반과정과 단계에서 콘텐츠를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하는 것이 유효한지도 살펴본다.
영미드라마(British and American Drama)
상업적 성공을 거둔 영미 TV드라마를 감상하고 다양한 성공 요인들을 다각도로 분석한다.
공연예술의 세계(World of Performing Art)
공연예술의 기획, 연출, 운영의 과정을 이해하고 관련 지식을 학습한다. 대표적인 공연장르를 선택해서 그 무대를 공부하고 공연의 구성과 준비, 실연 등의 실제를 파악하며 학생들의 연습 무대 또한 직접 꾸며 본다.
문화플랫폼과 문화산업(Cultural Platforms and Industry)
본 교과목은 현대 문화산업의 다양한 측면을 분석하고 다양한 형태와 경로의 문화산업을 촉진시키며 대중과의 소통을 담당하는 문화플랫폼의 기능, 그 구체적 메카니즘을 이해함으로써 경제·문화적 가치를 지닌 콘텐츠를 창출하는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문화트렌드와 뉴미디어(Cultural Trend Research and New Media)
현대의 새로운 문화경향에 주목하고 미디어 환경 및 새로운 콘텐츠 산업의 추이를 능동적으로 읽어내는 판단 및 기획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이다. 문화기획은 문화콘텐츠를 이용한 공연, 이벤트, 전시회, 박물관, 관광 및 예술 경영 그리고 컨벤션 등의 기획 및 운영 등을 위한 여러 가지 활동들을 포함한다. 문화적 기획능력이 요구되는 활동들의 특성 구조 등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콘텐츠 산업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본다.
일본문화 트렌드 분석(Japanese Trend Analysis)
일본 문화트렌드(문화트렌드일본어, 기업문화 등)를 시대배경과 선행자료를 참고로 분석하는 방법을 배운다.
영어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in English)
중급 수준의 영어회화 및 발표 능력을 기르는 데 기본 목표를 두고 영어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주어진 교재를 학습한다.
문화콘텐츠 세미나/워크샵(Seminar/Workshop)
문화콘텐츠학은 원천소스로서의 인문학과 순수예술 분야, 제작에 주로 관여하는 디지털 및 미디어 관련 공학, 콘텐츠 경영 및 유통에 필요한 경영 및 경제학 등의 여러 학문과의 융합으로 완성된다. 이 교과에서는 그러한 다양한 영역들과 소통하는 가운데 선택한 주제 또는 콘텐츠 관련 이슈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실천적 방안들을 도출하거나 연습한다.
문화콘텐츠 연습(Contents Production Practice)
문화의 대중화와 멀티미디어 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문화의 융성, 특히 대중 문화의 양적, 질적 발전을 위해 인문적 상상력과 감성, 풍부한 문화 원천소스를 멀티미디어와 융합해 새로운 형태 및 내용의 문화물, 콘텐츠물을 산출해본다. 주어진 주제에 따른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다큐멘타리 등의 콘텐츠를 시나리오 작성부터 완성품의 제작까지 구체적인 과정을 직접 실습한다.
문화콘텐츠경영(Contents Management)
문화콘텐츠경영은 문화콘텐츠의 경영과 문화콘텐츠를 위한 경영을 아우르는 개념이다. 이 교과목은 문화콘텐츠의 기획과 정책, 마케팅과 경영 전략 등에 대한 기초 지식을 습득하고, 나아가 문화콘텐츠 상품이 생산자에게서 소비자로 전달되는 전 과정에서 주요한 조정자이자 해석자, 매개자로서 문화콘텐츠 경영인이 맡아야 하는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세계문화유산 탐방(Exploring World Heritage Sites)
역사적·과학적·예술적 관점에서 세계적 가치를 지니는 유적이나 건축물들을 살펴보고 그 의미를 되새겨 본다.
콘텐츠제작 2/ 졸업작품(Contents Producing Training II)
실습을 통해 학생들의 콘텐츠제작능력을 제고하고 콘텐츠의 기획-제작- 비평 및 평가까지의 전 과정을 점검한다. 학생들이 제작하는 콘텐츠는 디지털 미디어를 사용하거나 디지털미디어의 형태로 산출되는 작품으로 제한하지 않으며 비-디지털 콘텐츠, 문헌과 같은 전통 미디어의 형태로 제작되는 콘텐츠도 중요하게 다룬다.